전체 글
-
[GitHub] Rebase -i로 커밋 합치고 편집하기Github 2020. 12. 20. 00:16
git에서 사용되는 Rebase는 주로 커밋을 병합하는 일 등에 쓰이지만, 쓰임새가 한 가지 더 있는데, 바로 interactive(대화형) 옵션이다. git rebase -i HEAD~{HEAD포인터로부터의 커밋 갯수} 명령어를 사용하여 HEAD로부터 일정 범위의 커밋을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다.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, 아래 화면과 같은 내용이 출력되면서 vi 편집기 화면으로 진입한다. 아래에는 각각의 옵션들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는데, 각 옵션들을 함께 실습하며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알아보도록 하자. Pick 위 캡쳐화면에 pick이라고 표시된 두 개의 커밋은 현재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하며, 해당 표시가 되어 있는 커밋은 어떠한 편집이 가해지거나 하지는 않는다. 하지만 pick 표시가 되어있다하더라도..
-
[GitHub] Tag란?Github 2020. 12. 19. 23:25
Tag란 깃에서 각 커밋에 달 수 있는 꼬리표 같은 것으로서, 주로 릴리즈 버전을 표시하는 데에 주로 이용된다. 태그가 달려있는지 여부와 해당 태그에 이름에 따라 어떤 버전이 중요한 버전인 지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. git tag :현재 등록된 태그의 목록을 표시한다. git tag "태그 이름" : 해당 이름으로 현재 HEAD에 태그를 추가한다. 위와 같이 해당 이름으로 태그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git tag -d "태그 이름" 해당 이름을 가진 태그를 삭제한다. 참고로, git push를 통해 원격 저장소에 변경사항을 푸시한다고 해도, 변경 사항에 tag가 자동으로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, 원격지에도 태그를 적용하고자 한다면, git push --tags를 통해 태그를 적용할 수 있다.